【스튜디오】 <br />▶엄지민 <br />안녕하세요. 엄지민입니다. 현상 이면에 숨겨진 사실을 좇아, 팩트추적! 지금 시작합니다. <br /> <br />【인트로】 <br />[고정여 / 경기도 포천 : 디지털 그 기계가 어려워서 사용을 잘 안 하고 있어요.] <br /> <br />기차표를 앱으로 예매하고, 키오스크로 음식을 주문하는 디지털 고도화 시대. <br /> <br />[박대열 / 66세 : 요즘 커피 하나 먹으려고 해도 번거롭기는 한데 어쩔 수 없죠.] <br /> <br />디지털 기술과 함께 우리의 일상도 달라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편리함의 속도가 빨라질수록 이 흐름에서 소외되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는 현실. <br /> <br />[YTN 보도 : 챗GPT 등 인공지능이 일상 속에 빠르게 확산하고 있지만, 디지털 소외 계층에게는 여전히 먼 이야기입니다.] <br /> <br />누군가에게는 무한한 가능성의 디지털 신세계이지만, 누군가에게는 쉽게 넘을 수 없는 장벽이 됩니다. <br /> <br />[김준영 / 시각장애인 : 사용을 안 하면 그냥 몇십 년이 후퇴되는 기분이거든요. 너무 고립된 것 같다.] <br /> <br />단순한 불편을 넘어, 삶의 질을 갈라놓는 디지털 격차. <br /> <br />[이준희 /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: 디지털 기술이 사람의 인생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이 분명히 있다고 저는 보기 때문에 지금은 우리가 기술 발전에 좀 더 집중하고 있지만 나중에 어느 정도 기술이 발전되면 이제 더 많은 사람들이 누릴 수 있게 사회 방향이 바뀌면 좋겠다.] <br /> <br />디지털 세상 속 외딴섬처럼 남겨지는 ‘디지털 취약계층’, 그들의 이야기를 시작합니다. <br /> <br /> <br />【스튜디오】 <br />▶엄지민 <br />오늘의 팩트체커 윤성훈 기자와 함께합니다. <br /> <br />윤 기자, 이제 인공지능 기술까지 우리 삶 깊숙이 들어왔잖아요. <br /> <br />그런데 우리 사회의 디지털화는 가속화되고 있지만 모두가 이런 디지털 기술의 편리함을 누리는 건 아닌 것 같아요. <br /> <br />▶윤성훈 <br />네, 고령층과 장애인, 농어민, 저소득층이 대표적인 디지털 취약계층입니다. <br /> <br />각종 디지털 기술이나 서비스에 접근하고 활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불평등, 다시 말해 디지털 정보격차가 나타나고 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실제 지표에서도 뚜렷이 확인됩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나온 보고서를 보면, 일반 국민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을 100%라고 봤을 때 이들의 수준은 77.5%로 상당한 차이를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▶엄지민 <br />이런 격차가 일상 속 불편으로 이어지는 거잖아요? <br /> <br />▶윤성훈 <br />네, 특히 디지털취약계층 가운데서도 고령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replay/view.php?idx=274&key=20251008234501541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